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25

저온 플라즈마 멸균기: 작동 원리와 실제 임상 사례 분석 1. 서론의료 및 치과 분야에서 감염 예방은 환자의 생명과 안전을 지키기 위한 가장 기본적인 원칙이다.그 중심에는 의료기기의 멸균(Sterilization)이 있으며, 특히 고온·고압에 민감한 기구들이 증가함에 따라 저온 멸균 기술이 점점 중요해지고 있다.이러한 기술 중 대표적인 것이 바로 저온 플라즈마 멸균기(Low Temperature Plasma Sterilizer)이다.플라즈마 멸균은 고온 환경을 사용하지 않으면서도 높은 멸균 효과를 제공하며, 광학 장비, 전자 부품, 내시경 등 고정밀 기구의 멸균에 최적화된 방식으로 각광받고 있다.이 글에서는 저온 플라즈마 멸균기의 작동 원리, 구성 요소, 실제 적용 사례와 장단점까지 자세히 설명한다.2. 플라즈마 멸균이란?2.1 정의플라즈마(Plasma)는 기.. 2025. 7. 25.
치과용 멸균기계의 종류와 특징 총정리: 안전한 진료의 기본 1. 서론치과 진료는 환자의 체내에 직접 접근하는 침습적 처치가 많기 때문에, 감염 예방이 무엇보다 중요하다.이러한 감염 통제의 핵심이 바로 의료기구의 멸균(Sterilization)이다.특히 치과에서는 고속 핸드피스, burs, 탐침, 거울, 포셉 등 다양한 기구가 반복적으로 사용되므로 정확하고 일관된 멸균 시스템이 필수적이다.멸균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으면 교차 감염, 바이러스 확산, 진료 중 합병증 등이 발생할 수 있다.이 글에서는 치과에서 사용되는 멸균기계의 종류와 각각의 원리, 장단점, 선택 기준까지 총망라하여 소개한다.2. 멸균(Sterilization)의 정의와 중요성2.1 멸균이란?멸균이란, 기구나 표면에 존재하는 모든 형태의 미생물(세균, 바이러스, 포자 등)을 완전히 제거 또는 파괴하는.. 2025. 7. 24.
치과용 Bur의 종류와 특징 총정리: 기능별, 형태별, 소재별 완벽 가이드 1. 서론치과 진료에서 가장 기본이면서도 가장 중요한 기구 중 하나가 바로 Bur(버)이다.치과용 Bur는 치아를 삭제하거나 보철물, 보철재료, 충전물 등을 다듬는 데 사용되는 회전형 기구로, 고속 핸드피스(High-speed handpiece) 또는 저속 핸드피스(Low-speed handpiece)에 장착하여 사용한다.Bur는 사용 목적, 재료, 형태에 따라 매우 다양하게 구분되며, 적절한 Bur를 선택하는 것은 시술의 정확도, 효율성, 안전성에 직접적인 영향을 준다.이 글에서는 치과용 Bur의 종류, 구조, 재질, 형태별 특징 등을 체계적으로 정리하고, 임상 선택 팁까지 함께 제공한다.2. 치과용 Bur의 기본 구조치과용 Bur는 기본적으로 세 부분으로 구성된다:구성요소설명Shank핸드피스에 연결되.. 2025. 7. 23.
EndoSequence BC RRM 사용 시 유의사항: 성공적인 치근단 밀폐를 위한 가이드 1. 서론치근단 절제술(Apicoectomy), 천공 수복(perforation repair), 내흡수 치료 등에서 핵심은 손상된 근관 또는 치근단 단면을 완벽히 밀폐하는 것이다.이때 사용되는 밀폐 재료 중 최근 가장 각광받고 있는 것이 바로 EndoSequence BC RRM(Bioceramic Root Repair Material)이다.EndoSequence RRM은 바이오세라믹 기반의 차세대 밀폐 재료로, 우수한 밀폐성, 생체 적합성, 항균성, 자가경화성 등을 특징으로 하며, MTA의 단점을 극복한 재료로 평가받는다.하지만 우수한 성능을 100% 발휘하기 위해서는, 정확한 사용법과 주의사항을 숙지해야 한다.본 글에서는 EndoSequence RRM의 특성과 함께 임상에서 사용할 때 반드시 유의해야 .. 2025. 7. 22.
MTA 이외에 사용되는 치근단 밀폐용 재료 완전 정리 1. 서론치근단 절제술(Apicoectomy)은 일반적인 근관치료로 염증이 해결되지 않는 경우에 시행되는 외과적 치료법이다.이 시술에서 핵심적인 단계는 치근단의 절제 후 근관 단면을 밀폐(Retrograde Filling) 하는 것으로, 이때 사용하는 재료의 선택은 시술의 성공 여부를 크게 좌우한다.오늘날 가장 널리 사용되는 재료는 MTA(Mineral Trioxide Aggregate)이지만, 그 외에도 다양한 재료가 치근단 밀폐용으로 활용되어 왔고, 현재도 MTA를 보완하거나 대체하기 위한 재료 개발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이 글에서는 MTA 이외에 사용되는 주요 치근단 밀폐용 재료의 종류, 특성, 장단점, 임상 적용 사례까지 자세히 설명한다.2. 치근단 밀폐용 재료의 조건이상적인 밀폐재 조건치밀한.. 2025. 7. 21.
치근단 병소 vs 치근낭종: 정확한 구별법과 임상 적용 가이드 1. 서론치과 진료 중 자주 접하게 되는 치근단 병소는 대개 감염성 염증에 의해 발생하며, 치료 방향을 결정하는 데 있어 정확한 진단이 무엇보다 중요하다.이 중에서도 치근단 병소 중 가장 흔한 두 가지는 바로 치근단 육아종(Granuloma)과 치근낭종(Radicular Cyst)이다.두 병소는 방사선 사진상 유사한 형태를 보이기 때문에 육안으로만 구별하기 어렵지만, 병태생리와 치료 전략, 예후가 다르므로 명확한 감별 진단이 필수적이다.이 글에서는 치근단 병소와 치근낭종의 정의, 원인, 임상 소견, 영상 진단, 조직학적 차이점까지 구체적으로 분석하며, 실제 임상 적용 팁도 함께 제시한다.2. 치근단 병소란?2.1 정의치근단 병소란, 치아의 신경(치수)이 괴사하거나 감염되었을 때, 그 치근단 주변 조직에 .. 2025. 7. 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