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MTA 이외에 사용되는 치근단 밀폐용 재료 완전 정리

by 왕2 2025. 7. 21.

1. 서론

치근단 절제술(Apicoectomy)은 일반적인 근관치료로 염증이 해결되지 않는 경우에 시행되는 외과적 치료법이다.
이 시술에서 핵심적인 단계는 치근단의 절제 후 근관 단면을 밀폐(Retrograde Filling) 하는 것으로, 이때 사용하는 재료의 선택은 시술의 성공 여부를 크게 좌우한다.

오늘날 가장 널리 사용되는 재료는 MTA(Mineral Trioxide Aggregate)이지만, 그 외에도 다양한 재료가 치근단 밀폐용으로 활용되어 왔고, 현재도 MTA를 보완하거나 대체하기 위한 재료 개발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이 글에서는 MTA 이외에 사용되는 주요 치근단 밀폐용 재료의 종류, 특성, 장단점, 임상 적용 사례까지 자세히 설명한다.


2. 치근단 밀폐용 재료의 조건

이상적인 밀폐재 조건

  1. 치밀한 밀폐성(sealing ability)
  2. 생체 적합성(biocompatibility)
  3. 치유 촉진(osteogenesis, cementogenesis 유도)
  4. 습윤 환경에서도 적용 가능
  5. 방사선 불투과성(radiopacity)
  6. 취급 용이성(easy handling)
  7. 치료 후 안정성(long-term stability)

MTA는 이 조건에 매우 근접한 재료지만, 가격, 경화 시간, 취급성에서 일부 한계가 있어 대체재가 지속적으로 개발되고 있습니다.


3. MTA 외 주요 치근단 밀폐용 재료 비교

재료명주요 성분밀폐력생체 적합성경화 시간특징
재료명 주요성분 밀폐력 생체적합성 경화시간 특징
IRM 아연산화아연-유칼립톨 중간 보통 빠름 과거 사용, 시멘트 기반
Super EBA 에틸렌베놀계 아연산화시멘트 우수 양호 빠름 취급성 좋음, 유해성 논란 있음
Biodentine 트리칼슘실리케이트 우수 우수 짧음 (12분 내외) MTA보다 빠른 경화, 유사한 성능
EndoSequence BC RRM 바이오세라믹 매우 우수 매우 우수 자가경화 고가, 최신 재료
Glass Ionomer Cement (GIC) 유리분말+폴리아크릴산 보통 양호 빠름 점착력 좋으나 밀폐력 약함
Resin-based materials 복합수지 불량 좋지 않음 광중합 필요 세균 침투율 높아 비추천
 

4. 대표적 치근단 밀폐 재료 소개

4.1 IRM (Intermediate Restorative Material)

  • 주성분: 아연산화아연-유칼립톨
  • 특징: 치과에서 오래된 밀폐재로 사용되었으며, 취급이 간편하고 경화 속도가 빠름
  • 단점: 수분 흡수에 취약, 밀폐력 및 생체 적합성 한계

임상 적용:
초기 응급 처치용이나 비용 문제로 인해 제한적으로 사용


4.2 Super EBA

  • 주성분: 강화된 아연산화시멘트 (에틸렌벤조산계 접착제 첨가)
  • 장점: IRM보다 우수한 밀폐력, 경화 시간 빠름
  • 단점: 일부 실험에서 조직 자극성이 보고됨, 생체 적합성 논란

Super EBA는 오래된 증례에서는 성공 사례가 많지만, MTA나 바이오세라믹 재료에 비해 점차 사용 빈도가 줄어들고 있습니다.


4.3 Biodentine

  • 주성분: 트리칼슘 실리케이트, 지르코늄 산화물
  • 특징: MTA와 유사한 성능을 가진 차세대 실리케이트계 재료
  • 장점:
    • 빠른 경화 시간 (12~15분)
    • 우수한 생체 적합성
    • 경화 후 강도가 높음
    • 치유 촉진 효과 있음
  • 단점: MTA보다 가격이 다소 높고, 초기 색 안정성이 떨어질 수 있음

임상 적용:
치근단 밀폐, 치수복조, 천공 수복 등 다양한 상황에 사용 가능


4.4 EndoSequence BC RRM (Bioceramic Root Repair Material)

  • 주성분: 바이오세라믹 복합체 (칼슘실리케이트계)
  • 특징: 최신 바이오세라믹 재료 중 하나로, 자가경화성이며 높은 pH로 항균 작용
  • 장점:
    • 탁월한 밀폐력
    • 생체 적합성 최상
    • 조작 간편 (프리믹스 시린지 타입)
  • 단점: 고가, 경화 시간 환경에 따라 다름

EndoSequence BC RRM은 신뢰도가 높아 심미적 전치부 및 고난이도 치근단 절제술에 적합합니다.


4.5 글라스 아이오노머 시멘트(GIC)

  • 특징: 접착력이 우수하고 취급이 간단하지만, 장기적 밀폐성 부족
  • 단점: 수분 환경에서의 안정성 낮고, 마모에 취약함
  • 현재는 치근단 밀폐 재료로 거의 사용되지 않음

4.6 레진 기반 재료

  • 장점: 외형 조절 용이, 조작 편리
  • 단점:
    • 침투성 높음 → 세균 재오염 위험
    • 광중합 특성상 완전 경화 어려움
    • 염증 반응 유발 가능

결론: 치근단 밀폐 용도로는 부적합


5. 재료 선택 시 고려사항

  1. 병소 크기 및 위치
    • 넓은 병소 → Biodentine, BC RRM 등 취급성 좋고 생체친화성 높은 재료 추천
  2. 수술 환경
    • 습윤 환경 → MTA, Biodentine, BC RRM 사용 가능
    • 건조가 어려운 부위는 레진계 재료 부적합
  3. 비용과 환자 접근성
    • 고가 재료는 비용이 부담될 수 있으므로 대체재와 비교 필요
  4. 예후 중시 시술
    • 생체적합성 및 조직 재생능이 중요한 경우 MTA 또는 BC RRM 선택

반드시 방사선 불투과성을 갖춘 재료를 사용해야 사후 방사선 추적 관찰이 용이합니다.


6. 임상 적용 사례 비교

사례 A: MTA 사용

  • 환자: 33세 여성, 상악 2번 치근단 병소
  • 치료: 치근단 절제 후 MTA 충전
  • 결과: 6개월 후 병소 소실, 방사선상 골 재생 확인

사례 B: Biodentine 사용

  • 환자: 41세 남성, 하악 소구치 치근파절
  • 치료: 치근단 절제 + Biodentine 밀폐
  • 결과: 빠른 회복, 조직 반응 우수

사례 C: IRM 사용

  • 환자: 비용 제한, 응급 수술 시행
  • 치료: 치근단 절제 + IRM 충전
  • 결과: 초기 회복 양호하나 1년 내 병소 재발 → MTA로 재치료

7. 결론

치근단 절제술에서의 밀폐 재료 선택은 수술의 성공률을 크게 좌우한다.
MTA는 여전히 골드 스탠다드로 평가되지만, 이를 보완하거나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재료들이 등장하고 있다.

BiodentineEndoSequence BC RRM은 특히 최근 주목받고 있으며, 우수한 생체 적합성과 조작성, 빠른 경화력으로 임상의의 선택지를 넓히고 있다.
반면, 과거 사용되던 IRM, Super EBA 등은 제한적인 상황에서만 고려해야 하며, 장기적 예후를 위한 재료 선택이 중요하다.

최종적으로는 환자 상태, 시술 환경, 예산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재료를 선택하는 것이 이상적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