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치근단 병소 vs 치근낭종: 정확한 구별법과 임상 적용 가이드

by 왕2 2025. 7. 21.

1. 서론

치과 진료 중 자주 접하게 되는 치근단 병소는 대개 감염성 염증에 의해 발생하며, 치료 방향을 결정하는 데 있어 정확한 진단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이 중에서도 치근단 병소 중 가장 흔한 두 가지는 바로 치근단 육아종(Granuloma)과 치근낭종(Radicular Cyst)이다.

두 병소는 방사선 사진상 유사한 형태를 보이기 때문에 육안으로만 구별하기 어렵지만, 병태생리와 치료 전략, 예후가 다르므로 명확한 감별 진단이 필수적이다.

이 글에서는 치근단 병소와 치근낭종의 정의, 원인, 임상 소견, 영상 진단, 조직학적 차이점까지 구체적으로 분석하며, 실제 임상 적용 팁도 함께 제시한다.


2. 치근단 병소란?

2.1 정의

치근단 병소란, 치아의 신경(치수)이 괴사하거나 감염되었을 때, 그 치근단 주변 조직에 염증 반응이 생기면서 형성된 병리적 변화를 말한다.

2.2 대표적 병소 유형

  1. 치근단 육아종 (Periapical Granuloma)
  2. 치근낭종 (Radicular Cyst)
  3. 치근단 농양 (Periapical Abscess) – 급성 상태

3. 치근낭종이란?

3.1 정의

치근낭종은 만성 염증 자극에 의해 발생하는 치성 낭종으로, 치근단 육아종에서의 상피 잔사(Rests of Malassez)가 증식하면서 낭포를 형성하는 병리적 구조물이다.
즉, 치근단 육아종이 낭종으로 진행되는 것이다.

3.2 주요 특징

  • 만성 감염에 의한 결과
  • 상피로 둘러싸인 낭종 형태
  • 방사선 사진상 명확한 경계
  • 조직 내 액체 포함
  • 비가역적 병변

치근낭종은 일반적인 근관치료로는 완전히 회복되기 어려운 경우가 많아, 외과적 접근(낭종 제거술 또는 치근단 절제술)이 필요한 경우가 많습니다.


4. 병리학적 구분 요약

항목치근단 육아종치근낭종
항목 치근단 육아종 치근낭종
기전 염증에 의한 조직 증식 염증성 상피의 낭성 변형
조직 구성 육아조직(granulation tissue) 낭종 벽 + 낭액
상피 유무 없음 또는 아주 적음 상피로 둘러싸인 낭상 구조
크기 작고 불규칙 (5~8mm 이하) 보통 크거나 명확한 경계 (1cm 이상 가능)
회복 가능성 근관치료로 회복 가능 외과적 제거 필요 가능성 높음
 

5. 임상적 구분 방법

5.1 환자 증상

항목 치근단 육아종 치근낭종
통증 무증상 또는 약한 통증 무증상인 경우 많음
촉진 시 반응 압통 가능 크기가 클 경우 동요감 유발 가능
경과 비교적 짧은 경과 수개월~수년간 천천히 진행
 

5.2 방사선 소견

항목 치근단 육아종 치근낭종
경계 불명확하거나 흐린 원형 명확한 원형 또는 타원형, 경계 뚜렷
피질골 반응 거의 없음 피질골 팽창, 얇아짐 가능
치근단과의 거리 치근단에 밀착 치근단과 약간 떨어질 수 있음
다근치와의 관계 한 개 치근만 관련되는 경우 많음 인접 다수 치근과 연관될 수 있음
 

CBCT(콘빔CT)를 통해 병소의 깊이, 골파괴 정도, 경계면 명확도를 정밀 분석하면 치근낭종 가능성을 더 명확히 파악할 수 있습니다.


6. 진단적 접근: 조직검사 (Histopathology)

왜 조직검사가 중요한가?

치근낭종과 육아종은 최종적으로 조직학적 검사를 통해 구분된다.
단순 방사선 소견만으로는 100% 구별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외과적 절제 시에는 항상 병리 검사 의뢰가 권장된다.

조직검사 소견

  • 치근단 육아종: 염증세포 침윤, 모세혈관 증식, 섬유모세포
  • 치근낭종: 상피 내층으로 둘러싸인 낭포성 공간 + 염증세포 침윤

치근낭종은 재발 위험이 있으며, 드물게 다른 양성 병변으로 전이될 가능성도 있으므로, 정확한 조직학적 진단은 매우 중요합니다.


7. 치료 방법 차이점

항목치근단 육아종치근낭종
항목 치근단 육아종 치근낭종
1차 치료 근관치료(RCT) 근관치료 가능하나 완전 제거 어려울 수 있음
2차 치료 재근관치료, 치근단 절제술 낭종 제거술 + 치근단 절제술 권장
회복 경과 빠르면 6~8주 완전 회복까지 수개월~1년 소요 가능
예후 예후 좋음 크기 및 위치에 따라 예후 다양
 

8. 실제 임상 적용 사례

사례 1: 치근단 육아종

  • 환자: 32세 여성, 상악 1번 치아 압통
  • 방사선: 경계 흐릿한 치근단 투과성 병소 (약 6mm)
  • 치료: 근관치료 1회, 3개월 후 병소 소실
  • 결론: 치근단 육아종으로 완치

사례 2: 치근낭종

  • 환자: 45세 남성, 무증상, 하악 전치부 낭종 발견
  • 방사선: 경계 명확, 원형 병소 약 1.2cm
  • CBCT: 피질골 확장 및 얇아짐 확인
  • 치료: 치근단 절제술 + 낭종 제거
  • 조직소견: 낭포성 상피 존재 → 치근낭종 진단
  • 경과: 6개월 후 골 재생 확인

9. 결론

치근단 병소는 방사선 소견상 유사해 보이지만, 실제 병리적 구조와 임상 경과에 따라 전혀 다른 접근과 치료가 필요하다.
치근낭종은 단순 염증이 아닌 병리학적 낭종 구조물로서, 방치할 경우 인접 구조물 침범, 치조골 파괴 등의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다음과 같은 전략이 중요하다.

  • 정확한 영상 진단 (CBCT 적극 활용)
  • 임상 증상과 병력 분석
  • 필요 시 조직검사를 통한 확진
  • 낭종 의심 시 외과적 접근 적극 고려

환자 맞춤형 진단을 통해 치아를 최대한 보존하면서도 병소를 완전히 제거하는 것이 치료의 핵심이다.